미술치료개론 Introduction of Art therapy | 미술치료의 근간이 되는 전반적이 심리이론을 고찰하고, 이론을 토대로한 미술치료 적용방법을 연구한다. |
미술치료특론 Understanding Art Therapy | 미술치료의 기본이 되는 중요이론을 개괄적으로 학습한다. 이를 토대로 각기 다른 대상에게 적용되는 미술치료의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한다. |
그림심리진단 및 평가 Picture Psychological Inspection and Evaluation | 그림심리검사의 이론적 측면과 진단 기법을 익히고, 평가를 위한 보고서 작성법에 대해 학습한다 |
미술매체연구 Studies for Art Materials | 각 대상의 특성 및 문제 유형에 맞는 효과적인 미술매체에 대한 이론 및 실제에 대한 토대 |
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 Child and Adolescent Art Therapy | 아동과 청소년의 심리발달 특성과 정신 병리를 이해하고, 이를 해결하기 위한 미술치료 접근 방법을 모색한다 |
Supervision | 미술치료 이론을 임상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치료 계획, 평가 도구 및 절차,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, 효과 검증, 전문가의 자질 등 체계적인 미술치료 연구 과정에 대해 지도 감독을 받는다 |
집단미술치료 Group Art Therapy | 집단미술치료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하고, 집단의 구성, 실시목적과 방법, 치료기법, 집단관리 등에 대하여 토의함으로써 집단의 역동을 이해한다 |
색채심리학 Color Psychology | 색채와 관련된 인간 심리의 연관성에 대해 익히고, 이를 기초로 미술치료에서 색채를 통한 정서표현에 대한 이해와 색채를 통한 심리치료 기법을 탐구한다 |
미술치료 현장실무 Field of Art Therapy Practice | 임상 현장에서의 미술치료 수요 확대에 따라 구성된 교과로서, 학교 및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구성, 보고서 작성법 등과 같은 현장에서 보다 전문적인 실무를 위한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학습한다 |
Practicum Training | 병원 및 해당기관에서 실시하는 미술치료 임상실습에 대해 훈련하고 교육한다. 이를 위해 임상사례 보고 및 발표를 통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형식과 내용 등을 고찰한다 |
학교미술치료 School Art Therapy | 학교 현장에서의 미술치료 수요 확대에 따라 구성된 교과로서,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구성, 보고서 작성법 등과 같은 학교미술치료의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학습한다 |
미술치료 동향분석 Art Therapy Research and trends analysis | 국내외 미술치료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, 이를 기반으로 개인적인 연구방향을 설정하여 논리적으로 구체화시키는 능력을 배양한다 |
미술치료 사례연구 Art Therapy Case Study | 미술치료 사례 보고를 통해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, 구성 내용, 진행 과정 등을 검토하고 분석한다 |
대상관계와 미술치료 Object Relation and Art Therapy | 대상관계 이론을 고찰하여 관계 속에서의 인간의 역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에 적용한다. 즉 각 대상에게 적절한 미술치료를 실시하기 위한 사례개념화 방법을 익힌다 |
모래놀이치료 Sand play therapy | 모래놀이치료의 이론을 통해서 모래놀이치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모래놀이치료의 여러 사례를 경험 하면서 치료자의 역할과 태도 그리고 모래상자를 해석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|
상담심리학 | 이상심리학 | 통계학 |
영상영화치료학 개론 |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 | 언어발달 및 치료전략 |
질적연구방법 | 정신의학 | 의사소통 장애학개론 |
논문작성방법 | 장애아동의 이해 | 특수 교육학 |
장애아동 부모교육 및 상담 | 예술치료 개론 | 움직임기능해부학 |